분류 전체보기58 21. 프로세스 개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하며프로그램은 실행되기 전까지는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 덩어리일 뿐이다.1. 프로세스 직접 확인하기포그라운드 프로세스 foreground process :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메모장, 웹 브라우저 등백그라운드 프로세스 background process 1)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이 가능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2)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정해진 일만 수행하는 프로세스데몬, 서비스2. 프로세스 제어 블록모든 프로세스는 실행을 위해 CPU가 필요하다 하지만 CPU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그래서 프로세스들은 돌아가며 한정된 시간만큼만 CPU를 이용한다. 이때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차례가 넘어간다. 빠르게 번갈아 가는 프로세스들을 관리해야 하기.. 2024. 10. 23. 20. 운영체제의 큰 그림 커널시스템 콜과 이중 모드운영체제의 서비스 종류1. 커널운영체제의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하며 현존하는 프로그램 중 규모가 가장 큰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cf) 리눅스 운영체제의 소스코드는 2700만 줄이다.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며 운영체제에서 커널에 속하지 않는 기능은 유저 인터페이스 정도이다.2. 이중모드와 시스템 호출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들이 자원에 접근하려 할 때 오직 자신을 통해서만 접근하도록 하여 자원을 보호한다. 이중 모드CPU가 명령어를 실행하는 모드를 크게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로 구분하는 방식사용자 모드- 운영체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실행 모드- 커널 영역의 코드를 실행할 수 없는 실행 모드- 자원 접근 불가커널 모드-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실행 모드.. 2024. 10. 22. 19.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1. 운영체제란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특별한 프로그램 -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 운영체제의 CPU관리- 운영체제의 CPU관리 2.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운영체제 없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골치 아픈 일이다. 왜냐하면 하드웨어에 직접 접근해야 하기 때문이다.운영체제 덕분에 개발자는 하드웨어를 조작하는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가 없다.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그렇기에 프로그램을 만드는 개발자는 운영체제를 알아야 한다. 오류 메세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2024. 10. 18. 18. 다양한 입출력방법 세 가지 입출력 방식 : 프로그램 입출력, 인터럽트 기반 입출력, DMA 입출력 1. 프로그램 입출력프로그램 속 명령어로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입출력 명령어로써 장치 컨트롤러와 상호작용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하드 디스크에 백업( = 하드 디스크에 새로운 정보 쓰기 )CPU는 하드 디스크 컨트롤러의 제어 레지스터에 쓰기 명령 내보내기하드 디스크 컨트롤러는 하드 디스크 상태 확인 > 상태 레지스터에 준비 완료 표시CPU는 상태 레지스터를 주기적으로 읽어보며 하드 디스크의 준비 여부를 확인하드 디스크가 준비되었다면 백업할 메모리의 정보를 데이터 레지스터에 쓰기프로그램 입출력 방식은 CPU가 장치 컨트롤러의 레지스터 값을 읽고 씀으로써 이루어진다.프린트 컨트롤러의 상태 레지스터를 읽어라프린터 컨트롤러의.. 2024. 10. 17. 17.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이 컴퓨터와 소통하게 될 때는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라고 하는 개념을 통해서 이루어진다.CPU-입출력장치 정보 주고받기입출력 장치는 CPU나 메모리 보다 더 다루기가 까다롭다.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입출력장치에는 종류가 너무나도 많다.장치가 다양하면 장치마다 속도, 데이터 전송 형식 등도 다양하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을 규격화하기 어렵다.일반적으로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은 높지만 입출력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이런 이유로 입출력장치는 장치 컨트롤러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된다. 장치 컨트롤러의 역할CPU와 입출력장치 간의 통신중계오류 검출데이터 버퍼링 : 버퍼링 전송률이 높은 장치와 낮은 장치 사이에 주고 받는 데이터를 버퍼라는 임시 저장 공간에 .. 2024. 10. 16. 송길영 작가 <호명사회> 직장도 없어지고 직업도 없어질 때, 꼭 남겨야 하는 것 최근에 가장 관심을 가지고 보는 연사 중에 송길영 작가님이 이번에 시대예보 2편 출간하였다.책 홍보 겸 유튜브 채널에 많이 나와서 요즘 피드에 자주 등장하는데, 작가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어서 좋다.영상에서 보면 특유의 말투와 톤이 있는데 묘하게 집중하게 하는 힘이 있어서 항상 집중해서 보는 편이다. https://youtu.be/mPcCnvcJ-cM?si=ZBKfX1grZDvX9b_x "자신의 삶을 자신이 살고 싶죠 그게 '천부인권'이라고 불리는 그런 것들인데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을 위해서 들이는 노력과 거기에 따르는 결과에 줄다리기 내지는 저울질에서 항상 내가 가진 욕망을 눌렀던 것 같아요." 80년대생 까지만 해도 본인이 하고 싶은 일보다는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하는 일들이 많았고 좋은 대.. 2024. 10. 15.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